요즘 시대에 신입도 경력을 찾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입학과 동시에 빠르게 어떤 직무가 나와 잘맞고 스펙을 쌓아야되는 시대가 됬습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찾았습니다.
1. 적어도 4학년 연구, 개발 , 플랜트 진로 정하기
적어도 4학년때 정해야하는 이유는 이때부터 스펙을 쌓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연구나 개발에 경우 산업인턴 보다는 학부 연구나 대학원진학이 메리트 있을꺼고요. 플랜트 (현장 및 사무직)은 산업인턴이 훨씬 메리트 있을 겁니다. 두분야가 갈라지기때문에 이것부터 정하는것이 필요합니다.
2. 학부연구생또는 산업인턴
정직원 처럼은 하지 않지만 간접적으로 어떤일을 하는지 알수있는 기회가 주어집니다. 이때 스펙을 쌓기보다는 내가 적성에 맞는지 흥미가 있는지 찾아보는게 중요합니다. 시간이 없다면 추천드리는 사이트는 코멘토 온라인 직무부트캠프 추천드립니다. 이곳에서 여러 직무 활동을 해보면서 뭐가 저의 적성에 맞는지 알수있었습니다.
https://comento.kr/edu
코멘토
진짜 현직자와 찐한 실무체험. 인턴 경험이 없다면 코멘토 직무부트캠프에 참여하세요. 어려운 지원 프로세스 없이 직무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comento.kr
3. JD 직무기술서로 필요역량 분석하기
직무 적합성 항목은 크게 지식/기술/경험 3항목으로 평가한다고 합니다.지식은 직무와 관련해서 전공이나 교육을 잘 배웠는지를, 기술은 직무 수행에 필요한 도구(예를 들어 2D, 3D 설계툴)를잘 사용할수있는지, 경험은 말그대로 직무와 관련된 프로젝트와 실무경험이 있는지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삼성 그룹에 경우 직무별로 직무적합성에 중요성을 차지하는게 다르다고 합니다. JD에서 잘 알수있습니다.
1. 연구개발/기술 분야 - 지식 중심(그다음 기술, 경험을 중요시 보는것 같음)
2. 경영지원/영업 - 기술중심
3.SW - 경험 중심 (인적성도 코딩테스트로 진행)
'3. 마이라이프 > 2)커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사 도구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해보자. - 아날로그 편 (0) | 2025.06.21 |
---|---|
경제적 자유를 위한 장기로드맵 작성 및 고찰 (0) | 2025.01.30 |
경험정리가 끝나고, 가치관과 강점은 이렇게 파악하세요. (0) | 2024.05.28 |
인성검사 대비 이렇게 하세요. (0) | 2024.05.28 |
자소서쓰기 전에 경험 정리부터 하세요! (0) | 2024.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