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 스타트업 | |
아이템 | 안정적인 수요와 공급을 가진 제품 또는 프로세스 | 기존에 없던 제품 또는 서비스 |
조직 구조 | 수직적 | 수평적 |
업무 프로세스 | 체계적 | 직접 프로세스를만들고 선정해야함 |
중요 가치 | 안정 | 성장 |
장점 | 회사 내에서 배울사람도 많고 가르쳐줄수있는 사람이 많다. | 업무를 주체적으로 할수있음 |
단점 | 체계에 맞춰서 위에 시키는데로 해야할 경우가 많다. | 문제를 생겼을때 나서서 해결책을 제시해줄수 있는사람이 없다. |
필자는 대기업과 스타트업 중간인 중견기업에서 근무를 하고있다.
중견기업은 스타트업과 대기업의 중간 성격을 뛴다.
중견기업은 맨리소스가 부족한 경우가 있어서, 스타트업 같이 업무권한이 직급에 맞지 않게 주어지는 경우가 있다.
입사하고 첫 2~3달간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잘몰라 이책을 읽었다.
1. 회사생활 적응하기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일단 업무 용어를 알아들어야 한다.
- 모든 팀원이 접근할 수 있는 온라인 툴을 활용한다
- 용례(사용 예시)를 같이 적는다
레버리지Leverage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이 있는지 찾는다.
- ‘남의 노력으로 내가 업무 효율을 높이는 것’이라 이해할 수 있다.
- 회사의 기존 자료들, 레버리지할 수 있는 자원들을 파악해 두는 건 일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훌륭한 노하우 중 하나다.
노우웨어Know-where 누구에게 어떤 도움받을 수 있는지 알아 둔다.
- 회사 내 직무의 직무 기술서를 파악한다.
- 다른 사람의 업무 현황을 파악한다 직무 기술서는 추상적이고 원론적인 이야기들이 적혀 있을 뿐이다.
밸류 체인Value Chain 내가 맡은 일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맥락을 파악한다.
- 밸류 체인이란 기업이 상품을 만들어 팔고,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일련의 과정 및 관계를 말한다.
- 여기에는 생산, 유통, 마케팅, 영업 등 다양한 과정이 포함된다.
- 회사는 어떤 제품 또는 서비스(가치)를 만들어 내는가?
- 그것은 고객에게 어떤 만족을 주는가?
- 회사는 시장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
2. 일을 잘하기 위해 알아가야하는것
KPI 업무의 결과물 관리
-일을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 수준으로 해내야 하는지, 결과물의 목표치를 설정해야 한다.
- KPI는 핵심 성과 지표라는 뜻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정량적인
일을 10배 빠르게 처리하는 방법, 린 매뉴얼
- 매뉴얼을 만드는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하고 당장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최소 기능 매뉴얼.
- 처음 하는 일이라면 매뉴얼을 만들면서 일한다 매뉴얼의 시작은 자기만의 업무 방법론을 만드는 것에서 출발한다.
- PT 재료 풀덱
정해진 PPT 레이아웃Layout 형태를 맞춘다든지 색상을 사용한다든지 도형이나 도식을 그리는 업무들이다.
- 제안서 풀덱
제안서에 들어가는 항목은 대개 비슷하다. 이러한 각 항목별로 들어갈 재료를 하나의 파일 또는 폴더에 모아둔다.
-업무 지침
다른 사람이 매뉴얼만 보고 해당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업무 지침을 정리하는 것이다.
3. 조금씩 성장하기
- 어제보다 딱 3%만 더 나아지면 된다. 한 줄이라도 쓰는 작디작은 행위가 쌓여서 성장한다.
- 주 2회 이상은 적거나 매일 적는 걸 추천한다. 성찰과 도전의 루틴을 형성하기 위해서다.
- 잘한 점, 개선할 점, 실행 과제 잘한 점은 유지하거나 강화하고, 부족한 점은 개선해야 할 부분으로서 성찰한다.
- 그리고 반드시 앞으로 새롭게 실행할 과제까지 스스로 만들어 본다.
- 다이어리 방식 형식에 얽매이지 말고 일기 쓰듯이 가볍게 적는다. 양식도 없고 두서없이 적어도 괜찮다.
이렇게 한다면 빠르면 1년 느리면 2년안에는 성과를 낼수있는 직원으로 성장하지 싶다.
'3. 마이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이킬수없기 전에 되돌리자 <식단 혁명> (0) | 2025.04.27 |
---|---|
매슬로우 이론 최신 개정판 <트랜센드> (0) | 2025.04.20 |
이상적인 회사생활을 현실로 만든 남자이야기 <왜 일하는가?> (1) | 2025.02.20 |
피로 관리가 건강 관리다 <자는것은 쉬는것이 아니다> (1) | 2025.02.17 |
올바른 판단을 하는 방법 [판단의 버릇] (1) | 2025.02.12 |